-
[Spring] ➰URI TemplateJava 2021. 10. 9. 11:49728x90
➰URI Template
💢URI Template이란 무엇일까?
URI Template이란 자원을 구분하기 위한 최적의 표현법이며 URL을 동적으로 구성 가능한 기술이다.
예를 들어 아래와 같은 상황을 봐보도록 하자
#.url
github/ji-myeung-Kim github/friend1 github/friend2
위에 상황을 보면 github라는 고정 표현이 있고 뒤에는 어떤 아이디로 접속했냐에 따라 값이 달라지는 것을 볼 수 있다. 이럴 경우 우리는 URI Template을 이용하여 뒤에오는 가변적인 부분을 처리할 수 있다.
아래 코드로 어떻게 처리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!
#.code
@RequestMapping("github/{userid}") public String UriT(@PathVariable String userid) { System.out.println("urlTeset1()==" + userid); return "forward:/nextPage1.jsp"; // /표기는 project명 의미 }
✅위에 코드를 보면 @RquestMapping이라는 애노테이션을 사용하고 그 안에 파라미터 값으로 가변적인 부분에 {}를 사용하여 표기를 한다.
✅@PathVariable애노테이션을 사용하면 @RequestMapping에서 가변적인 것을 처리할 때 사용하는 변수를 와 메소드 내에서 사용이 가능하다.
지금까지는 한 부분에 대해서만 처리 했지만 아래와 같이 여러부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.
#.url
urlTest2/kjm/Test/JW urlTest2/sjw/Test/SI
괄호가 하나만 있을 경우와 똑같이 가변적인 부분에 {}처리를 해준다.
#.code
@RequestMapping("urlTest2/{name}/Test/{school}") public String UriTt2(@PathVariable String name, @PathVariable String school) { System.out.println("urlTest2() --" + name + " " + school); return "forward:/nextPage2.jsp"; }
'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]🍪Cookie &🍕 Session (0) 2021.10.09 [Spring]MVC-with annotation🏨 (1) 2021.10.09 [Spring]💨 AOP(Aspect Oriented Programming)와 애노테이션(Annotation) (0) 2021.10.07 👫[Spring] DI(Dependency Injection)의존성 주입 및 Annotation 사용 (0) 2021.10.07